18일 시의회 현장민원과, 지역주민 대표단과 함께 탄천물재생센터 방문해 고질적인 악취 민원 전달
새벽 시간대 악취 측정·쓰레기차고지 개선 등 주민 맞춤형 대응 촉구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관계자들과 탄천물재생센터 현장을 살피는 유만희 의원
여름철과 초가을마다 반복되는 탄천물재생센터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해 유만희 서울시의원(국민의힘·강남4)이 나섰다.
유 의원은 지난 18일 서울시의회 현장민원과 기술민원팀과 함께 탄천물재생센터를 찾아 주민 불편 사항을 전달하고 개선책 마련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번 점검은 대청아파트, 개포자이, 수서아파트 등 인근 주민들이 수년째 지속적으로 제기해 온 민원을 반영해 추진된 것으로, 악취 설비 운영 현황 점검과 현장 악취측정이 함께 이뤄졌다.
먼저 간담회에서는 센터 관계자, 자문위원, 지역 주민들이 참석해 의견을 나눴다. 주민들은 “새벽 4시 30분 전후로 악취가 심해 창문조차 열 수 없다”라며 고충을 토로했고, 특히 “슬러지 건조 과정과 에코파크 미복개 구간에서 악취가 집중적으로 발생한다”라며 탈취설비 보강과 과학적 원인 분석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유 의원은 “측정치가 법적 기준치에 미달한다고 해도 주민들이 매일같이 고통을 호소한다면 결코 가벼운 문제가 아니다”라며 “주민 체감 시간대에 맞춘 새벽 측정과 함께 연구용역 추진 시 시민 참여를 반드시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마루공원 탈취시설을 점검하는 유만희 의원
이어 진행된 현장 조사에서는 쓰레기 수거차고지의 악취가 기준치를 크게 초과한 사실을 지적하며 “강남구와 협력해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탄천물재생센터는 현재 정문과 측문, 마루공원, 에코파크 등 7곳에 실시간 악취 모니터링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앞으로 ▲분기별 부지 경계 측정 결과 공개 ▲실시간 모니터링 확대 ▲주민 참여 합동점검 정례화 ▲쓰레기 수거차고지 등 인근 시설과의 협력 강화 ▲2026년 준공 예정인 슬러지 처리시설을 통한 악취 저감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올 11월 마무리되는 공정별 악취 특성 조사 연구용역을 통해 근본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유 의원은 현장점검을 마치며 “주민들의 생활 속 불편을 해소하지 못한다면 어떤 수치도 의미가 없다”라며 “현장에서 제기되는 주민 고충을 절대 간과하지 말고 반드시 해소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지역 시의원으로서 앞으로도 현장에서 주민 목소리를 직접 듣고, 시와 자치구, 센터가 협력해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온라인뉴스팀